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배당주

배당 투자 기업 공부 : SK텔레콤 [1편]

by 로쏘네리_카카 2024. 5. 6.
320x10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자유를 꿈꾸며 매일 투자 공부를 하는 카카입니다. 요즘 배당주를 통해 노후를 준비하는 플랜을 생각하고 있어 국내 기업 중에 투자할만한 업체들을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배당주" 라고 검색만 해도 수 많은 배당주들이 검색이 되죠. 많은 배당주들 중에 오늘은 SK텔레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수 많은 기업들 중에 SK텔레콤이 가장 익숙한 기업이름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 중 하나인 SK 의 계열인점. 대한민국의 1등 통신사라는 점 등이 안정감을 주더라구요. 실제로 이런 부분 때문에 SK텔레콤은 꾸준히 유동성 현금이 유입되는 회사인듯 싶어요. 마치 직장인들이 매월 월급을 받는 것처럼 말이에요. 


그럼 SK텔레콤의 재무재표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SK 텔레콤 재무재표

사진 출저 : 네이버 증권

SK텔레콤은 21년 11월쯤에 인적분할을 하였는데요. SK텔레콤은 통신/서비스 관련 사업만 따로 떼어나왔었죠. 22년도 당기순이익이 줄어든 이유는 손자회사였던 SK하이닉스 이익이 연결되지 않아서이지 않을까 싶네요(뇌피셜/개인적생각) 

그런 점을 감안하더라도 SK텔레콤의 매출액은 17조 정도이며 당기순이익도 1조을 오가는 수준입니다. 인적분할 후인 22년 순이익률을 보면 5~6% 수준인 점도 알 수 있습니다. 부채비율은 140~150% 정도이나 PBR이 0.91 수준으로 안정적인 수준으로 보여집니다. PER도 8~11 수준으로 굉장히 저평가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지표들로 회사의 모든것을 판단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SK텔레콤이 재무적으로는 안정적인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가 이 회사에 관심을 가졌던 가장 큰 이유, 배당률인데요 6~7% 오가는 높은 배당율을 보여주고 있네요. 당분간은 저금리 시대가 오지 않더라도 6~7%까지의 실질금리를 보여주기는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최근 가장 높은 예금 이자율이 4~5%였던 점과 현재 기준 금리가 쉽게 떨어지지는 않더라도 더는 올라가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판단해보면 확실히 은행 이자보다는 1~2%는 확실히 높은 수준이라고 생각됩니다.  


SK텔레콤 배당주 투자 시나리오!?

배당주로써 가치만 훼손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몇가지 시나리오를 적어보겠습니다. 장기 투자 관점이며, 개인적인 의견인점 이해해하시고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시나리오1) 배당율도 지속 상승 + 주가 상승 : 가장 최고의 시나리오 입니다. 장기 투자 시 꾸준히 배당금 수익과 주가 상승으로 인한 시세차익까지 낼 수 있으니깐요. 모든 사람이 바라는 시나리오이겠죠? SK텔레콤이 AI 관련 사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분야에서 어떤 성과를 내느냐에 따라 향후 주가 변동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 시나리오2) 배당율 지속 상승 + 주가 BOX 권 : 이것도 괜찮다고 생각해요. 저는 SK텔레콤을 배당투자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배당주로써 가치만 훼손되지 않으면 투자를 멈출 이유가 없는 것 같아요. 시세차익은 크지는 않더라도 손해는 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 시나리오3) 배당율 현행 유지 + 주가 지속 상승 : 현재 배당율 6~7% 유지가 낮지 않은 배당율 수준이기 때문에 은행 금리가 이보다 높아지지 않는다면 현재 배당율에 대해서 크게 부정적으로 보지 않아요. 주가 상승은 당연히 좋은 신호입니다. 
  • 시나리오4) 배당율 현행 유지 + 주가 BOX 권 : 배당율이 유지 된다면 투자를 유지 할 것 같아요! 위에 시나리오들과 같은 이유겠지요? 
  • 시나리오5) 배당율 하락 + 주가 상승 : 시나리오5번부터는 좀 고민이 될 듯 싶어요. 배당율이 얼마나 떨어질지도 중요하고 주가 상승 여력이 얼마나 될지도 중요하죠. 하지만 투자의 목적 자체가 배당 투자이기 때문에 배당율이 떨어지기 시작한다면 다른 배당주를 찾아보긴 할 것 같아요. 
  • 시나리오6) 배당율 하락 + 주가 BOX 권 : 이 역시 배당율 수준과 주가 수준을 고려 그리고 갈아탈 배당주를 충분히 재검토 후에 이전을 하는게 맞다고 생각이 듭니다. 
  • 시나리오7) 배당율 하락 + 주가 하락 :  더 큰 주가 하락이 생기기 전에 다른 배당주로 갈아타야한다고 생각이 듭니다.

SK텔레콤 현재 사업과 미래 사업 전망?! (feat. 지배구조)

SK텔레콤의 재무 상태와 배당율에 대해서 알아보았다면 SK텔레콤이 현재 진행하는 사업과 미래 전망 그리고 SK와 같이 큰 회사의 경우 지배구조를 알아보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SK텔레콤의 현재 사업과 미래 사업에 대해서 찾아본 자료를 공유해볼께요. 

사진 출저 : SK텔레콤 공식 홈페이지

우선, SK텔레콤의 공식 홈페이지에 방문해봤어요. 해당 회사의 홈페이지는 그 회사가 표현하고 싶은 것들의 집약체니깐요. 홈페이지에는 SK텔레콤이 생각하는 미래 사업과 ESG 구현 방법등 다양한 내용들이 있었어요. 그리고 현재 진행 중인 사업들을 한 눈에 보기 쉽게 정리한 페이지가 있었어요. 

위에 보이는 사진과 같이 SK텔레콤이 진행하는 주요 사업은 통신 사업과 AI 사업 그리고 데이터 사업임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알아보지 않더라도 우리는 SK텔레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너무 잘 알고 있죠. 대한민국의 절반 이상이 SKT 의 통신망을 이용하기 때문이죠. 최근에는 에이닷이라는 개인형 AI 비서 사업을 시작하면서(23.09) AI 분야로 사업 확장을 시작하였죠. 또 몇해전 메타버스가 붐이 일 때 진행한 ifland 는 지금은 미진하지만 분명 미래 사업임을 알 수 있습니다.  

사진 출저 : 유안타증권 리포트

기존 사업인 통신 사업도 결코 하향 사업이 아닌 점도 매력적인 부분이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특히 가정용 IoT, UAM, 클라우드 사업, 6G? 5G 더 나아가 자율주행 같은 미래산업들이 통신과 연결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기에 기존 사업과 미래 사업을 적절히 선택과 집중하여 계속해서 발전하는 회사가 되었으면 합니다. 

그럼 이번에는 SKT의 미래 사업 설명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사진 출저 : SKT 공식 홈페이지

SKT 공식 홈페이지에 비젼 페이지를 보면 " ‘Global AI Company’ 도약을 위한 SKT의 AI 피라미드 전략" 이라는 화면을 볼 수 있는데요. 위에서 잠깐 언급한 사업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 같네요. 먼 미래인 것 같지만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해당 사업들을 생각하고 기업과 함께 한다면 충분히 매력적인 사업들로 다가와 진다고 저는 생각이 듭니다. 개인적으로 AI Healthcare가 매력적인 사업인듯 싶네요. 저기서 확장되는 사업도 많을 것 같구요. 

사진 출저 : SKT 공식 홈페이지

AI Service, AIX, AI Infra 사업 관련 주요 내용들입니다. SKT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저 :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리포트

이와 관련하여 유안타증권에서 발행한 리포트에서 참조할만한 도표가 있는데, SKT에서 AI 관련 사업 투자 규모와 사업 비중을 늘릴 계획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래는 리포트 내용 중 AI 투자 관련 내용을 발췌하였습니다.(음영) 참조 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유안타증권 리포트]

동사는 9월 26일 AI 피라미드 전략을 발표하고 AI Company로의 전환을 본격화했다. IDC는 수 전용량을 23년 98MW에서 30년 207MW까지 확대하고, 자회사 SAPEON의 NPU, SK하이닉스 의 HBM으로 AI호스팅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LLM은 멀티 전략으로 접근한다. 자체 개발하는 LLM A.X(에이닷엑스)는 수십년간 축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Telco에 특화된 LLM으로 고도화하 고, OpenAI, Anthropic, 코난테크놀로지와 Telco 이외의 분야에서 협력한다. 확보한 AI 인프라 를 바탕으로 모빌리티(UAM), 헬스케어(동물 영상진단 보조) 등 사업 확장과 기존 비즈니스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유무선 통신사업 효율화로 마케팅, 고객센터, 네트워크망 투자 비용을 20~30% 축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은 CAPEX 내 AI 비중을 기존 12%에서 향후 5년간 33%로 확대하고 28년 매출 25조원, AI 매출비중 36%를 목표로 제시했다

빠르게 급변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SKT의 장점으로 느껴집니다. 

* 21년에 인적분할을 한 SKT의 지배구조를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서치한 자료 중에 최근 자료가 없어 이 부분 고려하고 참조 해주시면 좋을 듯 싶어요) 

사진 출저 : 네이버 기사


SK텔레콤 주가 전망 

사진 출저 : 영웅문 HTS SK텔레콤 년 차트

1989년 상장 된 이후로 30여년 동안 SKT은 꾸준히 상승해왔습니다. 대략 5배 정도네요. 시세 차익이 엄청 나진 않네요. 그래도 배당만 잘 준다면 괜찮을 것 같아요.  99년도는 잘 아시다싶이 닷컴버블 때문에 많은 IT기업들이 엄청난 상승 후 폭락을 경험했어야했죠. 2000년대부터 꾸준히 투자를 해왔어도 정말 행복한 상상이네요

차트에 매년 배당락 표시가 있는 걸 보면 배당금도 꾸준히 주고 있었다는 걸 잘 알 수 있죠.(든든합니다) 

사진 출저 : 영웅문 HTS SK텔레콤 일 차트

최근 5년 일봉 차트를 보면 코로나 시점에 급락 후 21년까지 계속 상승했었죠. 22년에는 계속해서 하락을 하다 45,000원 바닥을 찍고 최근에 상승하는 차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12일선 근처에서 주가 등락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상, SK텔레콤 기업에 대해서 알아보고 배당주로써 투자할만한 매력이 있는지도 생각해보았는데요. 저는 좋은 점만 봐서 그럴까요? 배당주로써 투자할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느껴지네요.(분명 단점도 있을꺼에요, 아마 매매를 시작하면 단점이 느껴지지 않을까 싶어요) 투자를 하게 된다면 투자 이후에도 SK텔레콤에 대한 정기적인 생각을 정리해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해볼께요. 오늘은 여기까지 내용을 적어볼께요. 

다들 성투하시길 바랄께요. 

320x10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