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제약

수액제 전문기업 JW생명과학

by 희망퇴직자 2024. 11. 2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곳에서 많이 사용하는 수액제를 생산, 판매하는 전문기업 JW생명과학이라는 업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최근 의료 파업 지속에 따른 수액제 판매 감소 우려에도 실적 성장에 성공하면서 투자자의 관심을 이끌고 있는데요. JW생명과학의 현재 주가 수준과 향후 전망에 대해 투자자로써의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 개요 ] 

  • 당사는 1994년 5월 10일 합성의약품 및 기타 완제 의약품 제조업으로 설립되었습니다. 
  • 유가상장 시장에는 2016년 10월 27일에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 당사는 글로벌 수액제조사인 미국 박스터사와 독점 라이선스아웃 및 수출계약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수액 개발 및 기술 역량을 입증 받고 있습니다. 
  • 당사의 연구센터에서 수액관련 기술을 지속 개발 하며 다양한 노하우 및 기술이 축적되었으며 고품질 의약품 연구 개발 및 플랜트 엔지니어링 연구 개발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시가총액 1,848억원으로 코스피 665위 입니다. (24.11.22 기준) 

[ 사업 내용 ]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목 구체적용도 주요상표등 매출액 비율(%)
의약품 제조 및 판매 제품/상품 기초수액 수분,전해질 보급 등 중외엔에스주사액 외 48,132 28.90
특수수액 항생제, 관류 등 크린조, 트리젤주 외 32,925 19.77
영양수액 아미노산 보급 닥터라미주 외 12,718 7.64
TPN 칼로리, 필수 지방산 보급 등 위너프주 외 56,638 34.01
HEMO 인공신장투석 관류 헤모비덱스 0.1%호액 외 12,454 7.48
기타 기타 목사멘틴듀오시럽 외 3,685 2.21
  • JW생명과학의 사업부문은 다양한 수액제를 생산하는 단일 사업부이며 그 종류가 다양합니다. 
  • 우리가 흔희 병원에서 자주 접하는 수분, 전해질 보급 기초 수액부터 아미노산 보급 영양수액까지 있습니다. 
  • TPN( Total Parenteral Nutrition, 종합영양수액) 과 같은 고부가가치 수액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HEMO 은 특수 환경에서 활용되는 수액입니다. 

[ 최근 이슈 ]

  • 의료 공백 악재 기우였나, JW생명과학 수액 사업 '훨훨' 

JW생명과학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주력 사업 수액제 수요가 크게 늘었다.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따른 의료 공백 악재에도 영양수액제를 중심으로 높은 성장세를 실현했다. 수액제의 해외 사업도 순항을 나타냈다.

 
 

[ 재무 상태 ]

  19년 20년 21년 22년 23년 24년
매출액      1,702      1,835      1,698      1,889      2,069      2,239
영업이익        297        395        284        271        309 336
당기순이익        219        173        129        150        281 299
배당수익률 2.53% 2.41% 3.61% 4.12% 3.88% 4.28%
  • 최근 의료 공백 이슈로 인해 수익 환경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최근 5년 내 최고 수준의 순이익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최근 3년 성장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기초 수액 사업과 고부가 가치 사업인 TPN 수액의 성장세가 가파른 것이 주요 성장의 요인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 추가적인 재무 상태를 확인해보면 자본 유보율이 매년 증가하는 모습과 부채비율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 그러면서도 순이익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배당금 자체는 1주당 500원으로 늘지 않지만 배당수익률이 높아져 간다는 사실은 주가의 하락이 계속 되고 있다는 뜻인데 재무는 우수한 편인데 주가는 떨어지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 차트 분석 ]

  • 2018년 고점을 찍고 액면분할을 한 이후에 주가는 계속 하고 있습니다. 특히 현재 주가 수준이 코로나로 인해 주가가 급락했던 10,450원 수준에 근접해 있습니다. 재무재표 수준으로 고려한다면 굉장히 저평가 되어 있는 주식으로 판단됩니다. 

  • 특히 21년 급격한 주가 하락(50% 가량 하락) 이후 11,000원 ~ 13,000원 구간의 박스권을 형성하며 횡보하고 있는 주가 상태입니다. 

  • 월봉 차트를 놓고 보면 위에서 말한 모든 것들이 훨씬 더 잘 보이는 편입니다. 
  • 현재 주가가 상장 이후 가장 낮은 수준에 근접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투자 인사이트 ]

  • 현재 주가가 역사적 최저점 수준에 도달해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출과 수익 구조는 안정적인 수준이다. 
  • 최근 의료 공백으로 인한 risk가 있었지만 의료 환경에서 필수재로 분류되는 수액제에 대해서는 안정적인 공급이 지속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향후에도 관계사와 통해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지며 고부가 사업인 TPN 수액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현재보다 더 큰 성장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상황입니다. 
  • 아쉬운점은 늘어나는 매출 대비 배당금액 자체는 5년 동안 한번도 늘어나지 않았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입니다. 
  • 대신 낮아진 주가 상태로 인해 배당수익률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하시는 분들께서 꾸준히 분할 매수하는 전략으로 접근해보면 좋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728x90
반응형

'국내주식 > 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식품 ODM 전문 업체 코스맥스엔비티  (0) 2024.12.08

댓글